새정치연합, "최대 정치 스캔들" 대대적인 총공세

입력 2015-04-10 17:08
새정치민주연합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자살 직전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거액을 건넸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10일 “박근혜정권 최대의 정치 스캔들”이라며 대대적인 총공세를 폈다. 두 전직 비서실장 등 친박근혜(친박) 핵심들이 담겨있는 ‘성완종 리스트’에 대한 철저한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번 사건이 4·29 재보선 국면에서 야권에 호재가 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발언 당사자가 고인이 돼 당장 진위가 밝혀지기 어렵기 때문에 당장 특검 카드 등을 밀어붙이기 보다는 신중하게 대응하는 분위기다.

김성수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은 박 대통령의 최측근 핵심 실세들이 연루된 불법 정치자금 수수사건이자 박근혜정권 최대의 정치 스캔들”이라며 “실체적 진실이 반드시 철저하게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두 전 실장은 국민 앞에 실상을 낱낱이 고백해야 한다”며 “검찰은 이런저런 핑계로 덮고 가려해선 결코 안된다”고 말했다.

확대간부회의에서도 “왜 두 분이 비서실장이 됐는지 이해된다”(주승용 최고위원),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전병헌 최고위원) 등 발언이 쏟아졌다. 유승희 최고위원은 유서 공개와 함께 특검을 요구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표는 확대간부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먼저 성 전 회장의 명복을 빈다”며 “마지막 남긴 말씀은 죽음을 앞두고 우리 사회에 특별히 남긴 것이니만큼, 진실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검찰이 여러 차례 개선하겠다고 공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사를 마치기도 전에 피의사실부터 공표해 인격적 모욕을 가하는 잘못된 수사관행이 이어지고 있다”며 “바로잡아져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사건으로 자칫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의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도 경계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성 전 회장의 사망으로 자원외교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 흐지부지돼선 안 된다”면서 이명박 전 대통령 등 핵심 5인방의 증인 채택을 촉구했다.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는 이번 사건의 성격을 ‘대선자금’으로 해야 하자는 의견이 제기됐으나 ‘불법 정치자금’으로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정리가 됐다고 한다. 새정치연합이 구체적 정보를 쥔 것도 아니고, 선거당일 보수표심이 어떻게 뭉칠지도 모르는 상황인 만큼 단계적 대응을 하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