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의 ‘코웨이 코디’가 야쿠르트 아줌마와 함께 국내 경력단절 여성의 주요 사회 진출 통로가 되고 있다.
코웨이 코디는 2~3개월에 한 번씩 고객의 집을 방문해 고객이 렌탈한 제품의 정기점검 및 멤버십 회원 관리, 필터 교체, 부품 교환 등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1998년 80명을 시작으로 현재는 약 1만3000명이 활동하고 있다. 주로 여성을 채용하는 만큼 여성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하고, 특히 경력단절 여성에 적합한 일자리로 평가받고 있다.
코웨이 측은 코웨이 코디가 경력단절 여성에 적합한 일자리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다. 코웨이 코디 1만3000명의 월평균 수수료는 210만원으로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평균 월급여액을 상회한다. 여성가족부가 임신·출산 경험이 있는 국내 25~59세 여성 58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년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에 따르면 재취업한 여성들의 평균 월 급여는 121만9000원이었다.
또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다는 점도 코웨이 코디의 장점으로 꼽힌다. 고객과 서비스 시간을 조율하기만 하면 근무 시간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하루 업무를 늦게 시작하거나 일주일 중 며칠은 개인 시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따로 정년이 정해져 있지 않아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코디의 경우 연령 분포는 20대에서 60대까지 다양하다. 현재 코디 중에서는 67세의 최옥순씨가 최고령 코디로 활동하고 있다.
코웨이 코디는 경력단절 여성이라는 사회적 의미 외에 회사 내부적으로는 환경가전 시장점유율 1위의 원동력으로도 평가 받고 있다. 코웨이 코디는 제품 점검 및 관리를 위해 고객의 집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점검 시간도 30분을 넘기기 때문에 고객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또 고객의 주거 공간을 직접 둘러봄으로써 고객의 수요를 미리 파악할 수도 있다. 코웨이는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한 주된 배경에 코웨이 코디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코웨이 '코웨이 코디'로 경단녀 해법 찾는다
입력 2015-04-09 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