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우익의 대표적인 한·일 고대사 왜곡사례인 ‘임나일본부’설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이완구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강력 비판하며 유감과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총리는 9일 서울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일본 정부가) 해서는 안 된다”면서 “준엄한 역사의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역사왜곡 문제는 앞으로의 한·일 관계나 미래세대를 위해 냉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입각해 진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본 정부의 과거사 왜곡 행태에 대해 내각 수장인 총리가 나서서 직접적으로 강력 반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임나일본부설은 4~6세기 일본 야마토(大和)정권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내용으로, 일본 역사학계에서도 정설로 통하지 않는 학설이다. 그러나 아베 신조(安倍晋三)정권은 문화청 홈페이지의 한국 문화재 일부 설명에 ‘임나’란 표기를 쓰고, 최근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한 중학교 역사교과서들도 임나일본부 내용을 포함시켰다.
이 총리는 “총리 이전에 대한민국 국민 한사람으로서, 또 충남지사를 지낸 사람으로서 한일 고대사 관계를 명쾌히 해야한다 생각한다”며 “교육부에 고대사 연구 활동을 강화하고, 사실 규명에 대한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시 한번 지록위마(指鹿爲馬·사슴을 말이라고 함)라는 말을 쓰고 싶다”며 “아시아의 평화에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 된다”고 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임나일본부설이 실린 중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대해 정부 차원의 유감을 표명하고 시정을 다시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2011년 중학교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시 유사한 왜곡 기술에 대해 강력 시정을 요구했음에도 이번 검정 통과본에 여전히 실렸다.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이 설이 근거 없다는 것이 일본학계에서도 통설”이라며 “관계기관의 구체적 분석을 거쳐 문제를 제기하고 시정을 요구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이완구 “준엄한 역사 평가받을 것”… 정부 임나일본부설 강력 대응
입력 2015-04-09 1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