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3세에 비만이었던 아동 10명 중 7명은 성인 비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미국이나 프랑스 독일처럼 국가 차원에서 비만을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동국대 일산병원 오상우 교수는 9일 서울 마포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열린 ‘소아·청소년 비만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건강보장 정책토론회’에서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성인 비만율로 이어지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적극적으로 비만 관리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영아 비만의 약 14%, 7세 소아비만의 약 41%, 10~13세 아동비만의 약 70%가 성인 비만으로 진행됐다. 우리나라는 체질량지수(BMI·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것)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된다.
토론회에서 문진수 서울대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청소년 비만은 대사증후군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소아청소년기부터 적극적으로 관리를 해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소아·청소년기의 비만은 의료비 부담도 가중시킨다”며 “10세 때 비만인 아이가 같은 나이의 정상체중 아이보다 평생 추가로 드는 의료비는 1만6310~3만9080달러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소아·청소년기 비만 관리가 쉬운 일은 아니라고 밝혔다.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은 경제적 이유 때문에 가정에서 식습관을 적극 관리하기가 어렵다. 또 비만 관리가 아이에게 지나친 스트레스를 주거나 성장을 저해하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약물치료보다는 습관과 인식, 행동을 바꾸는 게 중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가정은 물론 학교와 병원 등에서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건보공단은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국내외 소아·청소년 비만 정책사례들을 폭넓게 수집해 비만 폐해를 과학적으로 입증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소아·청소년 비만 예방과 관리를 위한 종합 대책을 만들 예정이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10~13세 아동 70%는 성인된 뒤에도 비만
입력 2015-04-09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