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준설선들이 엄청난 양의 모래를 파내 물에 잠겨 있는 산호초 안쪽에 퍼붓고 있다.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입수해 공개한 위성사진의 모습이다.
위치는 필리핀 서부 팔라완에서 남동쪽 135㎞ 해상. 공식 지명은 필리핀·베트남·중국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중국해의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에 속한 미스치프 환초(環礁)다.
이 환초 주변에선 500∼800명을 실을 수 있는 규모의 감시선들이 순찰 중이다. 지난 1월부터 시작된 준설 및 매립작업으로 이 산호초는 완연한 섬의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NYT는 중국이 멀게는 중국 연안에서 1600㎞나 떨어진 남중국해에 대한 실질적인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얼마나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지를 잘 보여준다고 전했다.
해리 해리스 미국 태평양함대사령관은 최근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중국이 이곳에서 수개월 동안 준설장비와 불도저를 이용해 모래 장성을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중국의 남중국해에서 인공섬 건설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미스치프 환초 인근의 한 암초에서도 인공섬을 건설한 바 있다. 국제 군사정보분석업체 IHS 제인스는 지난해 11월 중국이 피어리 크로스 암초에 길이 3000m, 폭 300m의 인공섬을 건설했다며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이 암초는 미스치프 환초에서 서쪽으로 320㎞ 떨어진 곳으로 중국은 이곳에 군함을 댈 수 있는 항만과 함께 전투기 활주로도 갖춰 놨다. 미스치프 환초의 준설·매립작업도 이 곳을 군사기지화하려는 계획의 일환이다.
아시아 해양 투명성 기구 마이라 랩-후퍼 국장은 NYT에 “이번 인공섬 조성계획은 중국의 영토확보 욕심이 얼마나 광범위하고 체계적인지 보여주는 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미국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경고 사인을 보내고 있다. 미국과 필리핀, 호주는 오는 20~30일 남중국해에서 병력 1만1740명을 동원하는 대규모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AFP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동원 병력이 지난해의 두 배 규모로 미군 6656명, 필리핀군 5023명, 호주군 61명이 각각 참가한다. 최소 92대의 군용기와 4척의 전투함이 참가하며 훈련 지역도 중국·필리핀이 영유권을 다투는 스카보러섬(중국명 황옌다오)에서 220㎞ 떨어진 미 해군기지 등을 포함한다.
올해 훈련 규모가 이처럼 커진 것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공격적인 인공섬 건설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중국, 남중국해서 공격적인 인공섬 만들기
입력 2015-04-09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