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도 분실된 핸드폰이 암시장에서 거래돼 명의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대포폰’이 등장했다고 8일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보도했다.
최근 북한에서 휴대폰 사용자가 늘면서 휴대폰을 훔쳐 암시장에서 유통시키는 절도범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한 소식통은 “열차에서 손전화기(핸드폰)를 훔치는 소매치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이들은 특수부대 이상으로 빨라 손전화기를 분실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10대 꽃제비들이거나 혹은 제대군인 경우도 있다. 여행자들의 배낭 겉만 봐도 어느 것이 비싼 물건이 들어있는지 알아 차리고, 정전으로 기차가 서거나 식사시간 등의 틈을 타 손전화기를 훔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소매치기들이 1차 대상은 손전화기 소지자들인데 손전화기 한 개를 시장에 넘겨주면 최소 300달러를 받을 수 있다”면서 “이들이 훔친 손전화기를 받아 장마당에 몰래 내다 파는 거간꾼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소식통은 “손전화기는 비싼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소매치기들과 거간꾼 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주민들이 손전화기를 분실하지 않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지만 눈에 불을 켜고 손전화기를 훔치려는 소매치기들이 있어 손전화기 분실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최근 한 40대 남성이 분실된 핸드폰을 구매한 ‘죄’로 노동단련대형을 받는 처벌을 받았다”면서 “평양시 간부의 핸드폰 분실신고에 보안서가 핸드폰기기 신호를 추적하면서 지방에서 살고 있던 이 남성이 범인으로 취급돼 처벌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평양시 간부가 열차에서 손전화기를 도난당했다며 신고해 보안서가 손전화기를 추적해 이 남성이 붙잡혔다”면서 “이 남성은 장마당 전자제품 매대에서 훔친 손전화기인지 모르고 400달러를 주고 구입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북한도 암시장에서 대포폰 기승”분실폰 구입땐 노동단련대형 처벌
입력 2015-04-08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