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위해성’의 과학적 근거를 밝혀낼 정부 연구소가 처음 생긴다.
보건복지부는 이르면 오는 8월 질병관리본부 산하에 ‘국가 흡연폐해연구소’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연구소는 국내에 유통되는 담배의 성분과 첨가물, 배출물(연기)에 대해 분석하는 업무를 진행한다. 각 담배에 니코틴, 타르, 암모니아, 흡습성물질 등 성분이 얼마만큼 함유돼 있으며 멘솔, 당류 등 중독성을 강화하는 첨가물질은 어느 정도 포함돼 있는지, 담배의 연기에 어떤 성분이 검출되는지 분석한다.
질병관리본부는 “담배의 기본 성분 외에도 담배에 첨가된 물질들도 실험 대상”이라며 “실험과 분석을 통해 첨가물들이 얼마나 중독성을 강화하는지, 중독성 때문에 끊지 못하게 하는 물질이 있다면 어떤 물질인지 찾아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간접흡연으로 인한 피해 정도를 알아내기 위해 각 담배의 연기가 사람의 몸과 주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한다.
혈액, 소변, 모발 등 인체 시료에 담배연기를 노출해 어느 정도 위해성이 발생하는지 측정하고 먼지 같은 환경 시료를 활용해 담배연기로 의한 환경 유해물질의 노출 수준도 검사한다.
또 실험동물과 동물 세포를 활용해 담배 연기가 암, 심혈관질환, 감염성 질환, 성장발달장애, 중독성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실험할 계획이다.
연구소에서 나온 실험 결과는 정부가 담뱃값 인상이나 금연구역 확대, 금연치료 지원 등 금연정책을 수행하는 데 과학적 근거로 활용된다. 실험 결과에 따라서는 담배회사를 상대로 진행 중인 소송 등에서도 증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담배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담배에 대해 실험·분석을 실시해 비공개 자료로 가지고 있는 경우는 있었지만 정부가 담배 분석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은 처음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담배 위해성’ 정부가 직접 밝혀낸다…질병관리본부에 ‘국가흡연폐해연구소’ 설치
입력 2015-04-08 0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