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위험 가장 큰 곳은 경북 구미·대구 달서구

입력 2015-04-07 15:27

전세난 심화로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70%에 육박, 지난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가운데 ‘깡통전세’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세가율은 지방 일부 지역이 80%를 넘어섰고 90%를 넘는 단지도 속출하고 있다.

7일 부동산114가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율 추이를 지역별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경북 구미의 전세가율이 8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 달서구가 79.8%의 전세가율을 보여 두 지역의 ‘깡통전세’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국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은 69.4%로 62%를 기록한 지난 2001년 이래 가장 높다.

깡통전세는 전셋값이 매매가에 근접하거나 더 높아 나중에 집이 경매 등으로 넘어가면 전세금을 돌려받기 어려운 경우를 의미한다.

이어 광주 북구(79.2%), 전남 여수(79.1%), 충남 계룡(79%), 전북 전주(78.7%), 광주 동구(78.5%), 광주 광산구(78.4%) 순으로 아파트 전세가율이 높았다.

반면 인천 중구는 아파트 전세가율이 50.1%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자치구별로 아파트 전세가율이 낮은 지역을 보면 경기 과천 55.5%, 경기 포천 55.6%, 서울 용산구 55.7%, 서울 강남구 56.2%, 인천 서구 56.6%, 강원 동해 58.5% 등으로 대체로 50%대에 머물렀다.

부동산114 임병철 책임연구원은 “지방은 아파트 매매 가격이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매매가나 전세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내집 마련보다는 전세를 택하는 경우가 많아 전세가율도 높아진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과거 전세계약을 할 때는 소위 ‘70%’룰이 고려됐다. 전세보증금과 근저당최고액이 집값의 70%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계속된 전세난 속에 70%의 룰을 지키기가 쉽지 않다. 전세 물건이 부족한데다 아파트 전세가율도 70%를 넘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전셋값이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깡통전세가 걱정이라면 전세금 보장 보험 가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정부는 ‘4.6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 방안’을 통해 보증료율과 보증료 할인대상 확대 등 보증보험 가입 부담을 크게 줄이기로 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