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이 달라졌다...수동에서 선제적 적극 대응 기조 변화

입력 2015-04-07 12:11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선체 인양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언급한 것은 집권 3년차 국정 스타일의 변화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예전에는 국정위기 시 여론에 다소 동떨어지는 대응이나 타이밍을 놓친 입장 표명으로 위기를 가중시키거나 이슈에 수동적으로 끌려가는 측면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박 대통령이 “선체 인양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은 여론의 흐름에 화답하는 것일 뿐 아니라 자칫 국론을 분열시킬 수도 있는 선체 인양 논란을 선제적으로 진화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국정 관리 방식이라는 평가들이다.

박 대통령에게 세월호 1주기는 여론의 흐름과 대응 여하에 따라 4월 정국에서 가장 큰 '암초'로 작용할 수도 있는 시기이다.

최근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이 세월호법 시행령 폐기와 선체 인양, 배·보상 절차 중단 등을 요구하며 삭발농성과 거리행진에 나섰고, 경제활성화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개혁과제를 추진하던 박 대통령의 부담도 커지는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박 대통령의 '선체 인양 적극 검토' 발언은 위기 조짐을 미리 수습하는데 효과를 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 방침이 '인양 불가'로 의심받아온 것을 해소하면서 참사 1주기를 맞은 유가족의 슬픔을 보듬는 동시에 야당의 공세 등 정치적 논란의 불씨도 차단시켰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희생자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의 요청, 인양 찬성 여론, 김무성 대표나 유승민 원내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지도부의 공식·비공식적 건의 등 다양한 경로로 여론을 수렴했다.

이 같이 여러 채널의 소통 과정을 거쳐 박 대통령이 결단을 내렸다는 게 청와대의 자체 평가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세월호 1주기를 앞둔 '뇌관'이었던 선체 인양 문제를 긍정적으로 공론화시킨 만큼 추가로 세월호 유가족을 끌어안기 위한 방안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방적인 행보나 메시지가 유가족의 반발을 사는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진정성을 제대로 전달하는 쪽으로 후속조치를 고민하고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들은 전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