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으로 따진 정부 추계가 틀리지 않았다는 점이 확인됐지만 비판은 이어지고 있다. 세금을 내는 것은 개개인인데 정부가 ‘평균의 함정’에 빠져 납세자들의 반발을 불렀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봉이 5500만원 이하인 근로자 15%(205만명)는 세금을 1인당 평균 8만원씩 더 냈다. 이들이 더 낸 세금이 모두 1639억원이다. 세금 증가자의 70%(142만명)가 연봉 2500만원∼4000만원 구간에 있었다. 이에 대해 문 실장은 “이들은 공제 대상이 되는 지출이 적어 세액공제 전환 효과를 충분히 받지 못해 세금을 더 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봉이 5500만원 이하인데도 세금을 더 낸 직장인은 주로 근로소득공제와 표준세액공제 축소의 영향을 받은 1인 가구와 자녀세액공제가 줄어든 영향을 받는 다둥이 가구, 출산가구다. 특히 싱글이거나 맞벌이 가구여도 배우자가 공제를 받는 1인 가구의 비중이 73%(150만명)로 압도적이었다. 자녀가 셋 이상인 가구, 출산 가구에서는 43만 명의 세 부담이 증가했다. 연금저축 공제율이 12%로 축소된 영향을 받은 기타가구에서는 42만 명의 세금이 늘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세금 증가자의 70%, 연봉 2500만원∼4000만원 구간에서 발생
입력 2015-04-07 0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