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한마디에 교육당국 ‘들썩’

입력 2015-04-06 21:17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학에 학생 선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교육부가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난이도를 유지한다면 변별력 측면에서 대학이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자율권을 갖는 방안도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쉬운 수능’ 기조를 계속 이어가는 대신 대학별 입시전형을 통해 변별력을 갖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교육부도 올해 수능을 ‘물수능’ 논란이 일었던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하겠다고 공개한 상태다.

대통령의 이 한마디에 교육 당국과 입시업체, 학부모 단체는 제각각 해석을 내놓았다. 입시업체들은 일제히 ‘대학별 고사’가 강화될 것이라 내다봤다. 대학별 고사는 논술, 면접, 적성고사, 예체능 실기시험 등을 포함한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대통령이 직접 ‘자율권’을 언급한 만큼 대학별로 논술, 면접 등이 강화될 수 있다”며 “다만 교외 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학생부에 기재하지 못하는 등 규제가 여전해 충돌하는 부분을 어떻게 처리하는지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영어 절대평가 등으로 줄어드는 수능 영향력을 아예 더 낮추겠다는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며 “수능을 절대평가화하고 대학별 고사 비중을 늘리겠다는 뜻을 암시하는 발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교육부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김두용 교육부 대입제도과장은 “만점자가 좀 많이 나오더라도 수능을 쉽게 낸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일부 논술이나 면접 비중이 늘어날 수는 있겠지만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은 그대로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선행학습금지법도 있으니 예전처럼 본고사가 부활하는 시나리오는 불가능하다”며 “입시업체의 전망은 그들의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한 입시업체 관계자도 “논술과 학생부에 규제가 즐비한 상황에서 현행 상태를 유지하며 ‘우리는 이렇게까지 한다’는 제스처를 대학에 보여주는 생색내기일 수도 있다”고 했다.

학부모들은 혼란스러워했다. 서울 강북의 한 고3 학부모는 “변별력 확보는 좋은데 대학마다 너무 어렵거나 생소한 방식으로 학생을 뽑는 건 아닐지 걱정된다”며 “수능이 쉬워진다면 굳이 수능 공부를 열심히 할 필요가 없는 거냐”고 되물었다. 안상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부소장은 “각 대학이 학생 선발에 자율성을 갖게 되면 이에 맞춘 사교육이 새롭게 등장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