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판매원으로 불리는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세계 고속철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리 총리는 외국순방 과정에서 굵직한 고속철 계약을 잇달아 따내며 실리외교로 주목받고 있고, 아베 총리도 세일즈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2009년부터 유라시아 고속철, 중앙아시아 고속철, 범아시아 고속철 등 3대 고속철 계획을 세워 이를 치밀하게 추진해왔다. 특히 2013년 초 취임한 리 총리는 같은 해 10월 태국 방문을 시작으로 외국을 방문할 때마다 철도사업 판촉에 주력하며 태국, 아프리카, 남미, 인도 등에서 잇따라 사업 협력 협정을 성사시켰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해 7월 남미를 순방하면서 태평양~대서양 연안을 연결하는 남미대륙횡단철도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은 인도에서는 델리~첸나이의 1754㎞를 잇는 고속철을 건설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사업이 성사되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노선이 된다.
리 총리는 러시아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을 연결하는 고속철 사업에도 눈독을 들이고 있다.
아베 총리는 중국이 세계 고속철 시장을 천천히 잠식해가는 상황을 수수방관하지 않겠다는 태도다. 관영 신화통신은 6일 “아베 총리는 일본 고속철의 수석 세일즈맨 역할을 하며 외국에 나가거나 관련 국가 지도자를 만날 때마다 일본 고속철 등 궤도교통(시설) 판촉을 잊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해 9월 일본을 찾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도 신칸센의 대(對)인도 수출 문제를 주요의제 중 하나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앞으로 주요도시를 잇는 7개의 고속철 노선을 건설할 계획이다. 총연장 4600㎞에 달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리커창·아베, 세계 곳곳서 ‘고속철 세일즈’ 경쟁
입력 2015-04-06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