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세월호 선체 인양에 대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이 나면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 여론을 수렴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현재 선체 인양과 관련한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고 관련 부처와 여러 기관에서 협력해 검토하고 있는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이 선체 인양 가능성을 언급한 건 처음이다. ‘기술 검토 후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한다’는 기존 입장과 비교하면 인양 쪽으로 한발 나아간 것이다. 특히 ‘적극 검토’라는 표현은 상당히 전향적인 변화로 해석된다. 국내 기술로 선체 인양이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고, 각종 여론조사 결과 ‘해야 된다’는 답변이 우세한 만큼 인양 방침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열흘 후면 세월호 사고가 발생한 지 1주기가 된다”며 “그동안 아픈 가슴을 안고 사신 실종자 가족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고 위로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지난 1년간 국민안전처를 신설하고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등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혁해왔다”고 설명했다. “민관유착 근절을 위한 부정청탁금지법안 통과와 공직자 취업 제한 강화 등 비정상적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는 점도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안전문제는 국민안전처만의 일이 아니라 각 부처가 재난관리 주관 기관으로서 소관 분야의 안전관리를 책임지고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들 의식 속에 안전 문화가 체화돼야 한다는 점을 당부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대학에 학생 선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피력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발표된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기본계획을 거론하면서 “교육부가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난이도를 유지한다면 변별력 측면에서는 대학이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자율권을 갖는 방안도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이 “관련 수석실과 부처가 함께 공론화 방안을 마련하길 바란다”고 요청한 만큼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朴대통령 “여론 수렴해 세월호 선체인양 적극 검토… 유가족에 깊은 애도"
입력 2015-04-06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