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중국시장 누적판매 1000만대를 돌파했다.
2002년 현대차의 중국 합자회사인 베이징현대가 EF쏘나타와 아반떼XD를, 기아차의 중국 합자회사인 둥펑위에다기아가 천리마(프라이드급 소형차)를 판매하기 시작한 이후 13년 만의 기록이다. 현대·기아차가 누적판매 1000만대를 넘긴 나라는 한국(1996년)과 미국(2011년)에 이어 중국이 세 번째다. 중국 시장 1, 2위 업체인 폭스바겐과 GM은 누적 1000만대까지 각각 25년과 17년이 걸렸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3일 기준 중국에서 누적 1000만776대를 판매해 지난해 9월 900만대 돌파 이후 7개월 만에 1000만대 판매를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베이징현대가 654만7297대, 둥펑위에다기아가 345만3479대를 각각 판매했다.
현대차는 중국 진출 2년 만인 2004년 현지 판매 순위 5위에 올랐으며, 기아차 역시 2002년 이후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대·기아차는 2009년부터 6년째 중국 시장 점유율 3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중국 시장 급성장 요인으로는 중국인들의 취향에 맞는 현지전략차종 개발, 중국 내 수요가 큰 준중형과 SUV 시장 적극 공략, 발 빠른 현지 생산 공장 확대 등 세 가지가 꼽힌다. 기아차가 처음 판매를 시작한 천리마는 출시 첫해 1871대 판매에서 4년 만인 2005년까지 누적 6만6298대가 판매됐다. 현대차의 첫 중국 전략차인 위에둥(중국형 HD아반떼) 역시 출시 5년 만인 2013년 누적판매 10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기아차는 최근 중국 내 수요가 높은 소형 SUV인 ix25와 KX3, 쏘나타급인 중형차 밍투 등 중국 전용모델로 현지화도 강화하고 있다. 준중형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난해 현대차 5개, 기아차 8개 등 총 13개의 차종을 투입했고, SUV 시장에도 현대차 4개, 기아차 2개 등 6개 모델을 투입했다.
현대·기아차의 중국 내 생산능력은 베이징현대 1~3공장, 둥펑위에다기아 1~3공장, 쓰촨현대 상용차공장까지 합쳐 현재 195만대 수준이다. 최근 착공식을 한 현대차 창저우 공장(4공장)과 하반기에 착공할 현대차 충칭 공장(5공장) 등을 더하면 2016년 230만대, 2018년 270만대 생산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가톨릭대 김기찬 교수는 “2000년 초반 일본 업체가 미국과 유럽을 겨냥할 때 현대·기아차는 과감하게 중국시장에 뛰어들었다”며 “(1000만대 돌파는) 기회 포착에 과감했던 한국식 경영의 성공사례라 할만하다”고 평가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현대기아차 중국 누적 1000만대 돌파
입력 2015-04-06 1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