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진열 금지와 담뱃갑 단일화 등 선진국의 금연정책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선진국의 흡연율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흡연인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담배업계의 신흥국 공략이 주효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5일(현지시간)부터 영국 내 신문가판대 등 소매점에서 담배를 진열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가 시행된다고 보도했다. 기존처럼 담배를 카운터 뒤에 진열할 경우 최대 5000파운드(약 810만원)의 벌금 또는 징역 6개월에서 2년에 달하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가디언은 “이미 2012년부터 대형마트에서 담배 진열대가 사라진 상황에서 최근 10년 사이 담뱃값을 80.2% 인상하고 담뱃갑 단일화를 추진하는 등 영국 정부가 흡연과의 전쟁에서 연이어 승리를 거두고 있다”고 전했다.
전날 프랑스 하원 역시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담배의 포장을 단일화하는 법안을 호주와 영국에 이어 통과시켰다. 이 법은 상원을 통과하면 내년 5월부터 시행된다. 담배 흡연의 매력을 감소시켜 금연율을 제고하겠다는 의도다.
가디언은 “영국은 강력한 금연정책에 따라 청소년 흡연율과 성인 흡연율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흡연에서 벗어나고 있다”면서도 “(선진국 금연정책 강화에 대한 대응으로) 대형 담배업체들이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거대 인구의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담배업계가 서구시장에서 얻은 막대한 이익을 바탕으로 저소득 국가에서 보조금을 통한 사업 확장과 로비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 흡연율은 1980년에서 2012년 사이에 남성이 41%에서 31%로, 여성이 11%에서 6%로 감소했지만 도리어 흡연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왔다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이 같은 저소득 국가의 흡연율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지난달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와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이 출연해 만든 ‘금연 펀드’처럼 거대 담배업계에 대응할 수 있는 기구의 조력과 함께 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선진국 금연 정책 불구 흡연인구 증가는 담배업계의 저소득 국가 공략 때문
입력 2015-04-05 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