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근대 산업화 시설’ 7곳에 한국인 6만명가량이 강제 징용돼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 특별위원회는 3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외교부로부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현안 보고를 받았다. 외교부는 일본 정부가 지난해 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등재를 신청한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군(群)’의 산업 시설 현황을 보고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들 시설은 규슈와 야마구치 및 인근 지역에 있는 제철소 9곳, 조선소 5곳, 탄광 3곳, 비(非)산업시설 5곳을 포함한 23개 시설이다. 이중 7곳에 한국인 5만7900명이 일제강점기 당시 노역 등에 강제 동원됐다. 다카시마 탄광 4만명, 미이케 탄광 및 미이케 항 9200명, 나가사키 조선소 4700명, 야하타 제철소 3400명, 하시마 탄광 6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94명은 사망했고 5명은 행방불명이다. 특히 하시마 지역은 혹독한 노역으로 악명을 떨쳐 ‘지옥도(島)’라는 이름이 붙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여부를 심사 중이다. 세계유산위원회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오는 5월 중순 권고 형태로 심의 결과를 낼 예정이다. 6월 28일~7월 8일 독일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를 참고해 최종 결정을 내린다.
외교부는 다양한 외교채널을 통해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등에 강력하게 반대 입장을 피력할 계획이다. 조태열 외교부 제2차관은 “일제강점기 우리 국민이 강제 징용된 아픈 역사가 서린 시설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것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세계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기본 정신에 어긋난다”고 거듭 강조했다.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은 한국과 일본, 독일, 인도를 비롯해 21개 국가로 구성돼 있다.
특위 위원들은 세계유산 등재를 막기 위한 외교부 차원의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한편 윤휘탁 한경대학교 교수는 회의에서 중국의 ‘백두산 공정’ 현황과 대응 방안을 보고했다. 중국은 백두산을 장백산(長白山)이라고 이름을 바꿔 세계자연유산에 단독 등재를 신청하고 이를 관광자원화할 계획이라고 윤 교수는 설명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외교부 “세계유산 등재추진 日 시설에 한인 6만명 강제징용”
입력 2015-04-03 17:45 수정 2015-04-03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