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안철수·김한길 세월호 공동토론회… ‘비노’ 목소리 커진다

입력 2015-04-02 18:00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김한길 전 공동대표가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맞춰 공동토론회를 개최키로 하는 등 ‘세월호’를 매개로 한 목소리를 다시 내기 시작했다.

현 여야 지도부가 모두 4·29 재·보궐선거에서 ‘경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가운데 참사 당시 야당 대표들이 나서 세월호 문제를 새 쟁점으로 끌어내려는 모습이다. 당이 경제·안보에 몰입하면서 세월호 문제가 후순위로 밀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일 양측에 따르면 두 사람은 세월호 참사 1주기를 하루 전인 오는 15일 ‘세월호 참사 1년, 국민을 위한 국가인가(가제)’라는 제목으로 국회에서 공동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지난해 7·30 재·보궐선거 패배로 동반 사퇴한 이후 두 사람이 공동 행사를 주최하는 것은 처음이다. 토론회에는 세월호특별법 협상 당시 원내대표를 맡았던 박영선 의원도 참석한다.

안 전 대표가 김 전 대표에게 “세월호 1주기인데 그냥 넘길 수는 없지 않느냐”는 취지로 공동 행사를 제안하고 김 전 대표가 적극 동의하면서 성사됐다. 한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 당시 공동대표였기 때문에 지난 1년을 반성하는 소박한 행사를 열자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안 전 대표는 재임 당시 일어난 가장 가슴 아픈 일로 세월호 참사를 꼽은 바 있다. 특히 김 전 대표는 최근 세월호 참사 해결을 요구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며 정치권의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세월호 참사를 겪으며 도대체 국가라는 것이 무엇이고, 도대체 정치라는 것은 뭘 하고 있는 것인가? 이대로는 안 된다 그랬는데 이제 1년이 지나도록 사실 아무것도 변한 것이 없는 것 같다”고 쓰기도 했다.

두 사람은 4·29 재·보궐 선거가 눈앞인 상황에서 함께 ‘비노(비노무현)’계 전직 대표들이 공동 토론회를 여는 것이 본의 아니게 문재인 대표 체제에 부담을 주지 않을까 우려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1년을 그냥 넘겨서는 안 된다는 데 뜻을 모았다는 후문이다. 김 전 대표 측은 “이번 토론회는 정치권이 재·보선뿐 아니라 세월호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촉구의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현 지도부는 4·29 재·보선에서 ‘경제정당’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어 세월호 참사 문제는 다소 민감한 소재다. 세월호 문제가 전면에 부각될 경우, 선거전이 경제문제가 아닌 ‘박근혜정부 심판론’으로 옮겨 붙고 또다시 여야 정쟁으로 번질 공산도 있기 때문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