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위암도 로봇 병용 복강경 수술을 하면 수술 후 췌장염 등 합병증 발생위험을 절반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은 위장관외과 송교영(사진) 교수팀이 로봇수술 40건과 복강경 수술 40건을 대상으로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인 췌장염 발생빈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복강경 수술 군에서 22.5%에 이른 반면, 로봇 수술 군의 경우 10%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로봇 수술은 복강경 수술에서 한 단계 진일보한 개념으로 환자의 몸에게 장착시킨 로봇 팔을 의사가 원격 조종하여 복강경 수술으 하는 방식이다. 의사가 로봇을 조종하는 데 쓰는 작동 콘솔과 로봇 카트 등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이 중 로봇카트는 높이가 약 2m, 무게 약 540㎏에 이를 만큼 큰 덩치를 가지고 있다. 본체에는 4개의 팔이 달려 있는데, 가운데에는 환자의 몸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카메라가 붙어 있고 나머지 팔은 수술용 기구가 달려있다.
또 3차원의 높은 해상도를 기반으로 환부를 10~15배 정도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는 수술용 카메라가 달려 있어 수술 시야를 폭넓게 확보할 수 있고, 수술하는 의사의 미세한 손 떨림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췌장염은 위암수술 후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췌장은 위자의 뒤, 즉 등 쪽에 위치하고 있어 수술 중 지속적인 자극으로 췌장염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강경 수술 시 로봇을 활용하면 단순히 복강경만을 이용해 수술을 할 때보다 췌장을 덜 자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췌장염 발생빈도가 낮아지는 게 아닌가 여겨진다고 송 교수팀은 분석했다.
위암 로봇수술의 장점에 대한 국내 임상통계연구 자료가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서지칼 리서치(JSR) 4월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조기위암 수술시 로봇을 이용하면 췌장염 합병증 낮춘다
입력 2015-04-02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