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도입 문제 등을 주제로 정책의원총회를 열고 이에 대한 공론화에 나섰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사드 도입 찬성부터 공론화 자체를 자제해야 한다는 신중론 등으로 의견이 갈려 앞으로 당론 수준의 의견을 모으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총에서 당의 공론화 움직임을 달갑지 않게 여기는 청와대를 의식한 듯 “사드 문제는 제 개인적 차원에서 의총 주제로 선택한 게 절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존망이 달려있는 문제”라며 “이미 언론을 통해 수년간 공론화돼왔고 국회 국방위원회나 외교통일위원회에서 공개적으로 많이 토론해왔다”고 강조했다.
당내에선 이 문제와 관련해 친박(친박근혜) 주류와 비주류 소장파와의 입장차가 확연하게 갈린다.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은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의총에서 “사드 문제를 공론화하는 것은 국익에 좋지 않다”면서 “당이 아닌 정부가 주도적으로 이를 끌고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정현 최고위원 역시 비슷한 입장이지만 광주 송정역에서 열리는 호남고속철도 개통식 일정 때문에 의총에 참석하지는 않았다.
친박 측 의견은 한·미·중의 외교안보 전략 등이 얽히고설킨 민감한 이슈라는 점을 감안해 신중하게 접근한다는 청와대 스탠스와 사실상 같다. 의총에서 한 의원은 “우리 생존권과 우리 안보는 우리가 결정하자는 입장에서 나아가야 한다”는 원칙론을 내세우기도 했다.
청와대가 공론화에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지만 당 원내지도부는 국익과 안보에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인 만큼 의원들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정치적 소신으로 피력했던 유 원내대표는 “제 개인의 오랜 주장을 고집하지 않는다”면서 “의견이 집약되면 청와대에 전달하겠다”고 언급한 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토론할 것을 유도했다.
사드 한국 배치를 전제로 한 외교전략을 주장했던 정병국 의원은 의총에 앞서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외교부 수장이 논란이 되고 있는 사드와 AIIB 문제에 대해 러브콜을 받는 상황은 축복이라고 했다”면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작심 비판했다. 또 “전략적 가치로 포장된 전략적 모호성이 우리에게 가져다준 것은 눈치보기, 무소신, 편승외교라는 비판”이라며 “자기 주장과 다르다고 비판하는 것은 정부의 장관으로서 적절치 않다”고 날을 세웠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새누리당, 사드 정책의총 뚜렷한 결론 못내
입력 2015-04-01 1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