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국경지역 시장에서의 외화(달러·위안화) 사용을 통제하면서 시장 장세(場稅)를 위안화를 거둬들이고 있어 주민들이 이에 반발하고 있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1일 보도했다.
북한 양강도 소식통은 “최근 시장에서 중국돈 사용이 금지됐는데 시장관리소는 위안화로 장세를 걷고 있어 주민들이 이에 반발하고 있다”며 “외화 사용으로 단속당한 주민들은 ‘장세를 위안화로 걷으면서 왜 단속하느냐’며 보안원들에게 항의하기도 한다”고 말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시장에서 중국돈 사용은 공공연한 것이고 북한 돈보다 가치가 커 대부분의 주민들은 중국돈을 선호하고 있다”면서 “주민들은 사용하지 못하게 단속하면서 장세는 중국 돈으로 받는 것을 두고 ‘백성들은 검열대상이고 시장관리소는 검열대상이 아니냐’라는 볼멘소리를 한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혜산 농민시장 의류 매대(좌판)에서 중국돈으로 도매거래를 하던 두 장사꾼이 장마당 순찰을 하던 보안원에게 돈 가방을 회수당하는 일이 일어났다. 당시 장사꾼들이 보안원에게 강하게 항의하는 등 소란이 있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현재 혜산 시장에서 장세 1일 중국돈 1원으로 북한 돈으로 계산하면 1350원이다”면서 “중국돈으로 하면 종이돈(지폐) 한 장이면 되는데 조선 돈으로 받으면 천원짜리 한 장에 이백원짜리, 백원짜리 그리고 50원짜리까지 내야 하니까 받는 사람도 장세를 내는 사람도 다 불편하다는 반응을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우리가 힘들게 벌어서 돈을 좀 모을까하면 화폐개혁이요 뭐요 하면서 우리를 망하게 만드는데 누군들 조선돈을 신용하겠는가”면서 “이젠 어린 학생들까지 조선 돈이 가치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이라고 강조했다.
소식통은 “시장 상인들 사이에선 ‘외화를 쓰지 말라고 하는 놈들(검열당국) 주머니에는 외화가 더 가득할 것’이라면서 ‘불법이라고 단속해놓고는 자기들이 사용하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인데, 외화라고 다르겠나’는 등의 불만들이 쏟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북한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국경지역의 일부 시장들에서 외화사용을 금지시켰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국경지역 시장서 북한돈은 똥값?” 외화 유통 금지 속 세금은 위안화로
입력 2015-04-01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