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새로운 비자금 루트, 컨설팅업체 대표 구속

입력 2015-04-01 00:56
검찰이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게 흘러간 것으로 의심되는 또 다른 비자금 이동 통로를 포착했다. 정 전 부회장과 그 ‘윗선’을 향한 수사망이 좁혀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31일 포스코건설 하청업체 2곳을 통해 2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뒤 빼돌린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등)로 컨설팅업체 I사 대표 장모(64)씨를 구속했다. 서울중앙지법 이승규 영장전담 판사는 “구속 사유와 필요성이 소명 된다”며 장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장씨는 S사와 W사가 포스코건설 베트남 공사현장 하청업체에 선정되도록 알선해주고 대신 비자금 조성 창구로 활용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정 전 부회장은 장씨 청탁을 받고 두 회사가 하청업체에 선정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최근 S사와 W사를 압수수색 했다.

이 20여억원은 포스코건설 자체 감사에서 드러난 100억원대 비자금이나 박모(52·구속) 전 상무가 흥우산업 측과 공모해 조성한 것으로 파악된 46억원과는 별개의 돈이다. 수사 선상에 오른 포스코건설 전·현직 임원 대부분이 수사에 비협조적인 상황에서 장씨가 윗선 추적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검찰은 출처가 다른 뭉칫돈이 최소 두 갈래 루트를 거쳐 정 전 부회장에게 전달된 것으로 의심한다. 검찰 관계자는 “길(비자금 흐름)이 중간에 갈라질 수 있지만, 길의 끝은 같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씨는 1990년대부터 대북사업과 건설업체 운영 등을 해 온 인물로 정 전 부회장과는 중학교 동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건설 외부인사지만 구속된 박 전 상무도 ‘어려워하는 대상’이었다고 한다. 그는 1997년 대선 직전 벌어진 ‘총풍 사건’과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수사 등 과거 ‘게이트성’ 사건에 여러 차례 이름이 등장했다. 검찰은 장씨가 정치권 인사들과 폭넓은 관계를 맺어온 점에 주목하고 포스코건설 비자금이 그를 통해 정관계 로비에 쓰였는지도 확인할 계획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