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자율주행 기술 선보이다

입력 2015-03-31 15:57

현대·기아자동차가 31일 인천 송도 국제업무지구 내 도심 서킷(경주로)에서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현대·기아차가 선보인 기술은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TJA)’이었다. 혼잡한 도로 상황에서 끼어들기, 사고 등 여러 돌발 상황이 벌어져도 안전하게 자율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시범 주행에서 TJA 기능이 장착된 제네시스는 운전자가 손과 발을 뗀 상황에서 출발해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며 운행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앞차를 따라 고장 차량을 피해가고 유턴과 S자 주행능력도 보였고, 횡단보도에서는 앞차를 따라 정차했다. 특히 도심 정체 구간에서 자주 벌어지는 끼어들기에도 잘 대처하는 능력을 보여줬다. 제네시스는 옆 차선에서 차량이 끼어들자 이를 센서로 감지해 앞차와의 거리를 늘렸고, 안전하게 운행을 계속했다.

현대·기아차는 2020년부터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상용화하겠다는 ‘기술개발 로드맵’을 밝혔다. 첫 단계로 진일보한 자율주행 기술인 ‘고속도로 주행지원 시스템(HDA)’을 올 하반기 나올 신형 에쿠스에 처음 적용키로 했다. HDA는 차선유지제어시스템, 앞차와의 간격을 감지해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구간별 최고속도와 과속위험 등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연동 기능 등을 통합해 고속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주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여주는 자율주행 기술 중 하나다. 현대·기아차는 HDA TJA 등의 기술을 종합해 2020년부터는 통합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이를 위해 센서로 주변환경을 파악하는 ‘인지’, 수집된 정보로 주행 전략을 수립하는 ‘판단’, 실제 주행을 구현하는 ‘제어’ 가능을 중심으로 핵심 기술을 개발 중이다.

현대·기아차 측은 글로벌 업체들과 비교해도 자율주행 기술력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대성 전자제어개발실장은 “벤츠나 아우디의 자율주행 시연 행사는 고가 센서 등 양산차에 접목시키기 어려운 기술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주행 상황과는 거리가 멀다”며 “중요한 것은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직접 접목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우디는 올해 초 ‘2015 CES’ 기간에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A7 콘셉트카를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에서 라스베이거스까지 900㎞를 운전자 도움 없이 달렸고, 메르세데스-벤츠 역시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주행 콘셉트카 ‘F015 럭셔리 인 모션’으로 시내를 자율 운행했다.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avi>현대차가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TJA)을 선보였습니다.혼잡한 도로 상황에서 끼어들기, 사고 등 여러 돌발 상황이 벌어져도 안전하게 자율 주행을 돕는 기술입니다.

Posted by on


인천=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