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공공요금 줄줄이 인상…서민 부담 가중

입력 2015-03-31 10:48

전북도의 지방공공요금 동결 기조 방침에도 각 시·군의 상·하수도 요금 등이 줄줄이 인상될 예정이어서 서민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전주시는 하수도 요금을 4월 사용량부터 36% 인상하기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는 전주시의 하수도 사용료가 t당 398원으로 처리비용(t당 845원)의 47%에 불과,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수도 요금은 단계적으로 인상돼 2017년에는 현재보다 2배까지 오르게 된다.

또 2009년부터 동결됐던 음식쓰레기 처리 수수료를 4월 하순쯤부터 현재보다 최대 2배까지 인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가정용(단독주택) 음식쓰레기 수수료는 ℓ당 30.7원에서 60원으로, 공동주택(아파트)은 37.4원에서 70원으로 각각 오른다.

고창군도 조간만 상수도 요금을 12% 인상하고, 정읍시는 올해 하수도 요금을 25% 올리기로 했다.

전북도에서는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6대 공공요금 중에서 도시가스(8.2% 인하)를 제외한 시내버스·택시·상수도·하수도·쓰레기봉투 요금이 일제히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버스와 택시요금이 15% 안팎 오른데 이어 올해 이들 요금이 앞다퉈 인상되자 서민들의 볼멘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처럼 공공요금이 거의 동시에 인상된 것은 각 시·군이 6·4 지방선거를 의식해 지난해 인상을 최대한 억제한 탓에 올 들어 공공 부문의 요금 인상 요구가 거세진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북도는 원칙적으로 지방 공공요금을 동결하도록 일선 시·군에 요청하되 인상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그 폭을 최소화하고 시기를 분산해 서민 부담을 최소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