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열리는 싱가포르 국부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 국가장례식 참석을 위해 28일 오후 출국한다. 박 대통령은 리 전 총리 국장에 참석한 뒤 그 아들인 리셴룽(李顯龍) 총리 등 유족을 위로하고 귀국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이 외국 정상급 지도자 장례식에 직접 참석하는 것은 처음이다. 또 현직 대통령의 해외 조문은 2000년 6월 8일 김대중 대통령이 오부치 게이조(小淵惠三) 전 일본 총리 장례 행사에 참석한 이래 15년 만이다.
◇조문외교? 조우 및 간단한 대화 가능할 듯=리 전 총리 장례식은 고인에 대한 영면을 기원하는 자리이면서도 한편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들의 정상외교 무대로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참석이 확정됐다. 중국은 아직 공식 발표는 없었지만 리위안차오(李源潮) 부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조문 가능성도 예상했으나 중국 최고지도자가 외국 정상 장례식에 참석하지 않은 관례상 이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일단 현지에선 장례식 전후로 자연스럽게 정상들이 서로 만나는 조문외교 기회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아베 총리와의 만남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최근 중국과 일본 외교장관들을 만난 자리에서 한·중·일 3국 협력관계 복원을 특별히 강조했다. 따라서 두 정상 간 만남이 어떤 형식으로 이뤄질지, 또 어떤 대화를 나눌지에 관심이 모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일단 행사장이 리 전 총리 장례식이고 박 대통령 역시 양국 관계와 리 전 총리와의 개인적 인연 때문에 조문하는 만큼 이를 박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조문외교에 활용하는 장으로 만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현장 분위기가 장시간 대화나 깊은 얘기를 나누기는 마땅치 않다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장례식에 참석하는 자리인 만큼 정상들이 만나더라도 간단한 인사나 대화 정도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각국 정상급 대거 참석, 도심 장례행렬도=싱가포르는 이번 국장에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회원국과 국방협력 5개국 협의체 등 18개국에 조문을 초청했다. 장례식에는 한·중·일 3국 지도자 외에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토니 애벗 호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하림 말레이시아 국왕, 응웬 떤 중 베트남 총리, 프라윳 찬-오차 태국 총리,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훈 센 캄보디아 총리,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통싱 탐마봉 라오스 총리 등 정상급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한다. 미국은 클린턴 전 대통령뿐 아니라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토머스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조문대표로 참석한다.
리 전 총리 장례식은 29일 오후 2시부터 싱가포르국립대학 문화센터(UCC)에서 3시간15분 동안 진행된다. 앞서 낮 12시30분 리 전 총리의 관이 안치된 의사당에서 UCC까지 장례행렬이 시작된다. 장례행렬은 시청, 파당 광장, 싱가포르 콘퍼런스홀 등 주요 지점과 시내 중심가를 돌게 된다.
◇박 대통령, 김장수 주중대사 임명=박 대통령은 주중대사에 김장수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공식 임명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김 대사 등 신임 공관장 14명에게 신임장을 수여했다. 주프랑스 대사에 모철민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주독일 대사에 이경수 전 외교부 차관보, 주캐나다 대사에 조대식 전 외교부 기획조정실장, 주멕시코 대사에는 전비호 강원도 국제관계대사가 각각 임명됐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대통령,리콴유 조문 위해 28일 출국
입력 2015-03-27 1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