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조선총련 건물 전매의혹 조사… 대북 압박 강화

입력 2015-03-27 09:37
일본 정부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중앙본부 건물의 전매(轉賣)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산케이신문이 2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조선총련 본부 건물이 경매로 팔린 후 부동산업체 사이에 전매될 때 전달된 자금의 출처 등에 관해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조선총련의 은닉 자산이 확인되면 조선총련에 대한 채권을 지닌 정리회수기구(RCC)가 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조선총련 건물과 토지를 낙찰받은 부동산회사 마루나카 홀딩스는 이를 다른 부동산회사(그린포리스트)에 44억엔에 되팔았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계 중국인 여성이 10억엔을 제공한 것으로 판명됐다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이후 조선총련은 본부 건물을 사들인 회사와 임대차 계약을 맺어 본부 건물에서 쫓겨나는 상황을 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청은 부동산 전매 자금 44억엔과 조선총련의 관련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으며 경찰청이나 공안조사청 등이 조선총련 부동산을 사들인 업체, 조선총련, 10억엔을 제공한 여성의 관계를 밝히고자 나설 것이라고 산케이신문은 덧붙였다.

조선총련의 부동산 전매 문제가 민간에서 이뤄지는 상행위라는 관점에서 관망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 온 일본 정부가 자금원 조사 등에 나서는 것은 최근 정체 상태에 빠진 일본인 납치문제 재조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재조사 진행상황을 공개하지 않는 것과 관련해 다음 달 만료하는 대북 수출입 전면 금지를 연장하고 기존에 풀어준 제재를 재발령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압박을 가하고 있다.

26일에는 일본 경찰이 한 식품회사가 북한 송이를 불법 수입한 사건과 관련성이 있다며 허종만 조선총련 의장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