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봄을 맞아 산림조성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보호원으로 조동(調動·이직)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27일 보도했다.
산림보호원은 산간 오지에서 일해야 하지만 개인 소토지 등을 자유롭게 경작할 수 있어 주민들이 선호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북한 양강도 소식통은 “최근 산림조성사업이 강조되면서 이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직업인 산림보호원을 선호하는 주민들이 많아졌다”면서 “최근 산림보호원을 지원하는 주민들을 보고 ‘당 정책 의도에 맞게 선택을 하는 똑똑한 사람들’이라는 간부들의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소식통은 “최근 청진광업대학을 졸업하고 연구소에서 근무했다는 한 젊은 부부가 양강도 산골의 산림보호원으로 자진해오기도 했다”면서 “특히 탄광이나 광산 등에서 일하던 사람들도 산림보호원으로 가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산림보호원은 단속을 받지 않고 뙈기밭을 일구고 화목도 다른 주민들의 것은 단속하면서도 자기들은 원목(건설자재로 쓰일 수 있는 것)으로 불을 땔 수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북한 당국은 산림보호원에겐 개인경작이 허용된다고 소식통은 밝혔다.
한편 북한 김정은은 지난해 11월 중앙양묘장을 찾아 “고난의 행군, 강행군시기에 산림자원이 많이 줄어 산림황폐화 수준이 대단히 심각하다”며 산림복구를 자연과의 전쟁으로 간주, 전당, 전군, 전민이 동원돼 산림복구전투를 벌이자고 지시하기도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北엘리트,산간오지 행렬 왜?”개인 경작 가능 선호
입력 2015-03-27 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