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 과정에 채권단에 외압 의혹 포착

입력 2015-03-26 21:24

금융감독원이 경남기업 워크아웃 과정에서 채권단에 외압을 행사한 의혹이 포착된 것으로 26일 전해졌다. 경남기업은 자원외교 비리에 연루돼 현재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해 9월 금감원 등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운영감사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이 지난해 1월 경남기업 워크아웃 승인 과정 중 대주주인 성완종 전 의원의 의견을 들어주라고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에 압력을 행사한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경남기업은 1999년과 2010년에 이어 2013년 10월 세 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한 상태였다. 실사를 맡은 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은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 한다고 보고했으나 금감원은 이를 거부하고 자금지원을 요구하는 성 전 의원측 의견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경남기업은 지난해 2월 무상감자 없는 1000억원 출자전환과 신규자금 3800억원 등 6300억원대의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를 통해 대주주는 50억여원의 이익을, 채권단은 100억여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은 또 2013년 초 한 고위 간부가 신한은행 등 경남기업 채권단 소속 은행 3곳의 대출담당 임원을 금감원으로 불러 900억원대의 특혜 대출을 하도록 압력을 넣은 의혹도 불거졌다. 당시 채권단 은행들은 난색을 표했으나 결국 요구를 들어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감사원은 이명박정부 시절 추진된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는 감사도 시작했다.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을 대상으로 다음달 19일까지 진행된다.

이완구 국무총리는 ‘공공기관 개혁추진 상황점검회의’를 열고 “냉철하게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중대한 문제가 나올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느낀다”며 “현 상황이나 예상 문제를 제로베이스(zero-base)에 놓고 솔직해져야 한다. 솔직하게 가자. 지금쯤 솔직하지 않으면 나중에 정말 큰일난다”고 말했다. 또 “쉬쉬하다가는 큰일나겠다”고도 했다. 이 총리의 이같은 발언은 이명박정부 당시 추진된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원점 재검토 내지는 전면 중단 검토로도 해석될 수 있어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