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장관 중 재산 1위...박원순 지자체장 중 꼴등

입력 2015-03-26 16:24
거듭된 경기침체에도 중앙정부 고위공직자와 지방자치단체장, 국립대 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시·도 교육감 등의 평균재산이 크게 오른 데는 부동산 가격 상승뿐 아니라 민간 재력가의 공직 합류도 큰 몫을 했다.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재산 평균 급증=26일 공개된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고위공무원의 평균 재산은 12억9200만원이다. 지난해보다 9400만원 가량 늘어난 액수다.

각 부처 장관 등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고위공직자 전체 평균보다 6억원 가량이 많은 18억5000여만원이었다. 가장 재산이 많은 각료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전년도에 비해 1억8000여만원이 많은 47억700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국무위원 재산 2위(32억7000여만원)였다. 이 밖에도 2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국무위원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25억4000여만원),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24억7000여만원), 황교안 법무부 장관(22억6000여만원) 등 3명이 더 있었다.

반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류길재 전 통일부 장관은 각각 7억9000만원, 2억4000만원을 신고해 국무위원 가운데 최하위권이었다.

장관급은 아니지만 이근면 인사혁신처장(161억4500여만원), 임용택 한국기계연구원장(165억8200만원)의 재산도 눈에 띄었다. 공직에 진입하자마자, 전체 공무원 중 4, 5위를 나란히 기록한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장, 교육감 살펴보니=3년 연속 수억원의 재산 감소 행진을 벌여온 박원순 서울시장은 올해엔 ‘107만원 증가’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박 시장의 총재산은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였다. 그의 총재산은 -6억8601만원으로, 장관급이상 고위공직자 가운데 꼴찌이자, 전체 공개대상자 중에선 끝에서 5등이었다. 자택은 보유하지 않고 있고, 채무액이 7억원이 넘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지난해보다 2억7000만원이나 늘어난 29억4187만원을 총재산으로 신고했다. 금융기관과 건물임대 채무를 일부 갚은 게 재산증가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억3000만원 증가한 6억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인사로는 최병로 수도군단장과 백종헌 부산시의원이 꼽혔다. 두 사람은 각각 15억2158만원, 25억6776만원이 증가했다.

◇고지 거부는 여전=이번에도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고지 거부는 여전했다. 대상자 4명 중 1명꼴로 자신의 직계가족 재산을 공개하길 거부한 것이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공개 대상자 1825명 중 491명(26.9%)이 부모와 자녀 중 1명 이상의 재산 공개를 거절했다.

고지거부는 독립생계를 유지할 능력이 있는 직계존비속에 한해 재산고지를 거부할 수 있는 제도다. 정부는 이 행위가 ‘재산공개의 구멍’이란 지적을 받고 기준을 강화했지만 별무소득이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