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채무조정 가능한 지원체계 마련해야”

입력 2015-03-26 11:00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6일 “채무자별 소득, 재산, 부양가족, 연령 등 처한 상황에 따라 맞춤형 채무조정이 가능한 상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의 역할을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자산관리공사(캠코) 서울본부에서 열린 국민행복기금 2주년 행사에 참석해 “진정한 맞춤형 채무조정이 되기 위해 기초수급자, 중증장애인, 빈곤 고령층 등 매우 취약한 상황에 있는 서민들을 어떻게 지원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임 위원장은 채무연체자에 대한 초기 상담 지원도 늘리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연체채무를 어떻게 갚아야 할지조차 모르거나 당장 직업이 없어 채무를 갚기 어려운 이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며 “연체 초기부터 재기에 성공할 때까지 심리상담, 직업교육, 취업·창업 알선 등을 책임지고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령층이나 대학생·청년, 저소득 빈곤층 등 금융취약계층이 상담받을 수 있는 ‘금융 힐링센터’가 필요하다”면서 “서민금융진흥원이 이런 역할을 하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3년 3월 출범한 국민행복기금은 지난달까지 총 280만명의 연체 채권을 매입·이관해 38만명의 채무를 조정했다. 기금이 대상자 22만9000명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채무원금은 1041만원(1인당 연평균 소득 421만원)이었고 평균 연체기간은 6년 5개월이었다. 총 채무원금 2조5000억원 중 52%에 해당하는 1조3000억원이 감면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