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 김영배 상임부회장은 26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206회 경총포럼 인사말을 통해 노사정 합의가 기업들이 어려운 경제환경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도출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우리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문제가 기존 근로자의 임금·근로조건의 차이이기도 하지만, 일자리를 갖고 있는 사람과 가지지 못한 사람들 사이의 격차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노사정 특위에서의 논의도 20%의 보호를 위해 80%의 진정한 약자, 특히 청년들의 일할 권리를 빼앗는 방향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예를 들면 노사정위에서 연봉 6000만원 이상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을 향후 5년간 동결해 그 재원으로 협력업체 근로자 처우 개선과 청년고용에 활용하는 등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들의 임금 안정 방안과 같은 내용들이 논의되어야 국민들에게 설득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그는 “업무에 부적합한 근로자에 대한 근로계약 해지와 같은 노동시장의 활력을 제고하고, 기업의 인력활용에 숨통을 트이게 할 수 있는 고용경직성을 완화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노동시장 질서가 변화되지 않는다면 당장 정년 60세가 의무화되는 2016년부터 약 5년간 대졸자는 극심한 취업난을 겪은 ‘IMF세대’보다 더 불행한 세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경총 김영배 상임부회장, 연봉 6000만원 이상 정규직 월급 동결해야
입력 2015-03-26 1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