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에 우는 소리 금융권, CEO 보수는 인상

입력 2015-03-26 08:59 수정 2015-03-26 11:34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금융권의 수익성 악화가 이슈로 부각되고 있지만 금융지주사들은 오히려 최고경영자(CEO)의 연봉을 잇따라 올리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주총회 시즌을 맞아 금융지주사들이 CEO의 급여 보수 한도를 높이는 내용의 안건을 이미 의결했거나 의결할 예정이다. 27일 정기 주총을 앞둔 하나금융은 이사의 성과연동 주식보상(Performance Share)의 한도를 5만주에서 7만주로 늘리는 내용의 이사보수 승인한도의 건을 의안으로 올렸다. 성과연동 주식보상제도는 3년간의 장기 경영성과를 평가해 실적에 따라 경영진에게 주식을 지급하는 제도다.

문제는 하나금융이 작년 정기 주총에서 성과연동 부식보상의 한도를 기존 7만주에서 5만주로 줄인지 고작 1년 만에 원상복귀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금융지주사들은 CEO의 고액 연봉에 대한 사회적 질타가 거세지자 일제히 한도를 낮춘 바 있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2013년 기본급으로 9억원과 2012년 성과를 반영한 상여금 4억4000만원을 받았다. 여기에 성과연동주식 3만9580주(2013년말 종가 기준 17억4000만원)를 추가로 받았다. 김 회장은 연봉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자 30%를 자진 반납하기도 했다. 금융권 경영환경 악화에도 거액 연봉을 받는데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자 총액 한도를 삭감한 것인데, 이번에 한도를 원상복귀시키려 하는 것이다.

신한금융도 이번 정기 주총에서 비슷한 안건을 처리했다. 신한금융의 한동우 회장은 2013년에 기본급·상여금 14억원과 성과연동주식 3만40주(14억2000만원)를 더해 28억2000만원을 받아 역시 연봉이 30억원에 달했다. 고액연봉 논란에 신한금융 역시 기존 60억원이었던 이사보수 한도를 작년 정기 주총에서 30억원으로 대폭 삭감했다. 그러나 지난 25일 열린 주총에서 한도를 45억원으로 다시 늘려 1년 만에 결정을 뒤집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