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재산공개] 교육감 재산 평균 7억5000만원… 최고는 울산교육감

입력 2015-03-26 09:12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공개한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현황을 보면 전국 17개 시·도 교육감의 1인당 평균 재산은 7억5099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감 가운데 재산총액 1위는 김복만 울산시교육감으로 모두 43억796만7000원을 신고했다. 김 교육감은 울산 삼산동, 범서읍, 당사동, 산하동 일대 대지와 임야 등 본인과 배우자 토지 11억1000만원, 본인과 배우자, 차남 소유의 오피스텔과 건물, 아파트, 다가구주택 전세임차권 등 7억9000만원, 본인과 배우자, 차남 소유 예금 19억원 등을 보유했다. 채무는 차남 명의로 1억6000만원이 있고 장남은 고지를 거부했다.

이영우 경상북도교육감은 경산시 자인면과 용성면 일대 임야와 대지, 논밭 등 토지 8억3000만원, 모친 명의의 건물 4000만원 등 모두 10억8700만원을 신고해 재산총액 2위에 올랐다.

10억원 이상의 자산을 신고한 교육감은 울산시교육감과 경상북도교육감 2명뿐이었고 설동호 대전시교육감(9억8700만원), 우동기 대구시교육감(7억8700만원), 김석준 부산시교육감(7억43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재산총액 6억2500만원을 신고해 전체 교육감 가운데 8위에 올랐다.

재산이 가장 적은 교육감은 자산과 예금을 합쳐도 채무가 2억9400만원에 이르는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이었다.

전년도보다 총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교육감은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으로, 선거 관련 채무를 상환해 10억9000만원이 늘었다. 재산증가 상위자 순위로는 지자체에서는 7위, 전체에서는 9위를 차지했다. 반면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선거펀드 모금액을 상환하면서 한 해 동안 4억8000만원이 줄어 재산총액 5억2200만원을 신고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