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정보통신기술(ICT)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K-ICT 전략’을 수립·발표했다. ‘ICT가 선도하는 창조 한국 실현을 목표로 앞으로 5년간 총 9조원을 투입해 ICT 산업 성장률 8%, 2020년 ICT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불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ICT 산업 체질의 근본적 개선, ICT 융합서비스 확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로 신 수요창출, 중국·개도국 등 패키지형 수출다변화를 통한 판로 개척, 소프트웨어(SW)신산업 분야 9대 전략산업 육성 등 4대 분야 17개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9대 전략 산업은 서비스 분야에서 5G, 초고화질(UHD) 방송, 콘텐츠에선 빅데이터와 디지털콘텐츠, 인프라 분야에선 사물인터넷(IoT), 정보보안, SW, 클라우드 등이고 스마트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ICT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기초원천-공공융합-기업지원’의 3대 축으로 연구개발(R&D)사업과 출연연 구조를 개편한다. 하고, ‘R&D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현장중심의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해 R&D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ICT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2019년까지 총 2조1000억원을 투자해 교육, 의료, 관광, 도시, 에너지, 교통 등 6대 분야 대규모 ICT융합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수요자 관점에서의 융합저해 규제를 상시 발굴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발굴된 규제는 최대한 신속히 해소할 계획이다.
중국과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패키지형 전략상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협력단’을 조직해 시장맞춤형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그동안 우리 ICT 산업을 주도해왔던 휴대전화 반도체 등은 앞으로 더 잘 할 수 있도록 혁신형 반도체, 융합 디스플레이, 상상초월형 스마트폰 등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미래부,K-ICT 전략으로 2020년 ICT 생산 240조원·수출 2100억달러 달성 목표
입력 2015-03-25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