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이상적인 수면시간으로 언급된 8시간이 사실은 길고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BBC방송이 24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일반적으로 잠을 너무 적게 자면 피곤함을 느끼고 짜증을 낼 수 있으며 과체중,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의사들은 경고한다. 반대로 너무 많이 자면 어떻게 될까?
영국 웨스트미들랜드 주 코번트리의 워릭대학교 심혈관의료·역학과 프랑코 카푸치오 교수가 이끈 연구팀이 100여만명을 대상으로 10년에 걸쳐 연구한 결과 수면시간이 6시간 미만이거나 8시간 이상인 사람들 모두 6~8시간 수면을 취한 사람보다 조기사망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카푸치오 교수는 연구 대상자를 ‘하루 6시간 미만 수면자’ ‘6~8시간 수면자’ ‘8시간 이상 수면자’ 의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적게 자는 사람이 중간시간대 수면자보다 12% 이상 사망자가 더 많았고 장시간 수면자 또한 중간시간 수면자보다 30% 이상 사망자가 많았다. 이는 하루 음주횟수와 사망 가능성 사이의 연관관계와 대충 비슷했고 흡연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보다는 더 적은 것이다. 카푸치오 교수는 서구인의 4분의 3이 하루 평균 6~8시간 수면을 취한다면서 이 수면시간이 수명에 가장 좋은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매사추세츠 의과대 수면장애연구센터의 그레그 제이콥스 박사에 따르면 가장 이상적인 수면시간은 7시간이다. 그는 미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수면연구재단 연례 조사 결과를 인용해 “일반적으로 성인은 7시간 자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7시간 수면이 뇌에 자연스럽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8시간 자면 오히려 해롭다?… “이상적 수면시간은 7시간”
입력 2015-03-24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