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연합(한교연·대표회장 양병희 목사)은 24일 서울 종로구 김상옥로 한교연 사무실에서 ‘봉은사역명 철폐 긴급 토론회’를 열고 봉은사역명 불가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한교연은 서울시민을 상대로 10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코엑스는 주말 24만명, 평일에 14만명이 이용하는 서울시민의 공공시설로 1년 이용자를 모두 합쳐 봐야 100만명도 안 되는 사찰과는 차원이 다른 시설”이라며 “이런 공적 공간을 두고 일개 사찰을 역명으로 정한 것은 상식에 크게 벗어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박 교수는 “서울시가 봉은사역을 정하면서 역사성과 문화성을 앞세우지만 정작 봉은사는 불국사처럼 문화재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아셈회의, G20정상회의 등 세계 각국 지도자들이 다수 참여해 국제적 문제를 논의했던 코엑스야말로 한국 근현대사에서 역사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사회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선 갈등조정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지역·세대·이념·정치·종교 등 갈등문제”라면서 “다종교 사회에서 갈등 조정자는커녕 특정 종교를 편향적으로 지원해 물의를 일으킨다면 우리 사회를 책임질 수 있겠냐”고 우려했다. 그는 “최근 들어 불교는 전통문화라는 명목으로 정부 예산과 혜택을 받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헌법에 보장된 개신교의 종교활동에 대해선 종교편향이라는 이름으로 비판하고 있다”면서 “이런 현실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가 봉은사역 논란”이라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2011년 했던 말처럼 개인적 신앙이 공적 영역에 작용하거나 종교편향성을 낳는다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모든 종교의 비극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박 시장이 이렇게 종교편향이 사회에 미칠 악영향을 잘 알고 있음에도 템플스테이·연등회 지원 등 특정종교에 편향적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병대 한국교회언론회 사무총장은 “불교계는 2008년 개신교를 견제하기 위해 종교편향이라는 해괴한 논리를 만들었고 문화체육관광부에 공직자종교차별신고센터까지 설치했다”면서 “신고센터는 기독교 문제만 제기되면 모두 종교편향이라고 꼬투리를 잡고 불교의 종교차별에 대해선 ‘해당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성토했다. 이 사무총장은 “박 시장이 취임한 후 불교 예산이 급격하게 늘어났다”면서 “그 돈은 모두 서울시민의 주머니에서 나온 세금”이라고 설명했다.
양병희 한교연 대표회장은 인사말에서 “다종교 사회에서 정치와 종교는 엄격히 분리돼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종교가 정치권을 이용해 행정편의와 예산을 따내는 관행에 철퇴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대표회장은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종교 문제와 봉은사역명 제정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임원회 논의를 거친 뒤 100만명 서명 작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한교연 봉은사역명 철폐 긴급 토론회 갖고 “봉은사역 절대 불가” 재천명
입력 2015-03-24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