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원특위, 증인 채택 차질...MB가 최대 쟁점

입력 2015-03-24 17:00
사진 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 이상득 전 의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경환 경제부총리

국회 해외자원개발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가 청문회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여야간 줄다리기를 거듭하느라 오는 31일로 예정된 청문회에 차질을 빚게 됐다. 여야는 24일 국정조사 특위 전체회의를 열고 청문회 증인 선정 안건을 처리하려 했으나 회의를 열지도 못한 채 날선 공방만 이어갔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명박(MB) 전 대통령 등 MB정부의 ‘핵심 5인방’을 청문회 증인으로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5인방에는 자원외교 특사로 나섰던 이 전 대통령 친형 이상득 전 의원,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지식경제부 자원개발정책관 등을 지낸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포함된다.

특히 이 전 대통령에 대해선 28건의 자원외교 양해각서(MOU)를 직접 체결한 만큼 청문회 검증을 피해갈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국조특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연합 홍영표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 전 대통령은 반드시 증인으로 출석해야 한다”면서 “이는 협상의 여지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또 새누리당이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 등 노무현정부 시절 인사를 증인으로 요구한 데 대해 “전형적인 물타기”라며 강력 반발했다. 새정치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야말로 천하가 다 아는 도를 넘는 정치공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야당이 새로운 의혹을 밝혀내지 못하자 국정조사를 파행으로 몰고 가려한다고 맞불을 놨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일경제교실 참석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전직 대통령을 먼저 불러내려고 하면 그것은 판을 깨자는 것”이라며 “자원외교 국조는 야당의 판인데, 자기들에게 펼쳐진 장을 활용하지 않는 어리석은 일은 하지 말자”고 지적했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아무런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면서 전직 대통령과 현직 장관들을 증인으로 요구하는 것을 보면서 그렇게 국조를 끝내려 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조특위 여야 간사는 앞서 지난 23일 청문회 증인 선정 협상을 벌였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새누리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해외 자원외교 순방 당시 비서실장이던 새정치연합 문 대표뿐 아니라 노무현정부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낸 정세균 의원을 증인 명단에 포함시켰다. 새정치연합은 “노무현정부의 자원외교가 문제된다면 국정조사를 다시 하면 된다”면서 이를 거부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