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재보궐선거 프레임 전쟁 본격화

입력 2015-03-23 16:38
여야가 서울 관악을 등 4곳에서 치러지는 4·29보궐선거 대진표를 확정하면서 선거 캠페인도 본궤도에 올랐다. 새누리당은 그동안 선거에서 효과를 톡톡히 본 ‘지역 일꾼론’에 더해 종북 책임론을 꺼내드는 모습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정권 심판론에서 탈피해 ‘경제 정당론’을 깃발로 내걸었다. 전문가들은 투표율, 종북 심판론과 경제정당론의 작동 여부, 야권 후보 단일화 등을 관전 포인트로 꼽고 있다.

◇지역일꾼+종북책임 VS 경제정당+정권심판=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총선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를 부정하고 내란을 선동하는 종북 세력의 국회 진출이라는 있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졌었는데 이를 정상화시키는 선거”라고 강조했다. 북한을 추종한 혐의로 해산된 통합진보당의 원내 진출을 도운 새정치연합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새누리당은 현 정부가 들어선 이후 지난 2년간 재·보궐 선거에서 연전연승해왔다. 매 선거마다 지역 일꾼론과 후보 인물론 등을 내세웠고 효과를 발휘했다. 김무성 대표부터 이완구 국무총리, 서청원 최고위원, 이정현·나경원 의원 등 중량급 인사들을 후보로 내세웠다. 이번 재·보궐에서는 예전만큼 인지도가 높은 후보는 없지만 지역 일꾼론과 종북 심판을 강조하면서 민심을 파고들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연일 ‘경제정당’을 외치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는 지난해 7월 이후 경기 부양책만 다섯 차례, 최소 60조원 이상을 쏟아 부었으나 선거에서만 재미를 보고 민생경제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며 정부 경제 정책을 비판했다.

새정치연합은 박근혜정부 출범 직후부터 관성적으로 ‘정권 심판론’을 내세웠다. 현 정부 초기에는 국가정보원 등의 선거 개입을, 지난해에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 대응을 문제 삼으면서 심판을 외쳤다. 하지만 민심이 반응하지 않자, 이번에는 경제 정당론을 내세우면서 정권 심판론은 일단 뒤로 물리는 모습이다.

◇투표율, 종북 논란, 야권 후보 난립=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가 야당 강세 지역에서 치러지긴 하지만 투표율이 저조한 보궐선거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3곳이 사실상 야당 텃밭에서 이뤄지는 선거이지만 투표율이 높지 않은 재보선인만큼 야당 승리를 낙관하기 어렵다”면서 “지난해 7·30재보선도 30%대 초반 투표율을 보였는데 이번에 이를 넘어설지가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통진당 해산에 따른 보궐선거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배 본부장은 “여당의 종북 심판론은 보수층의 즉각적인 분노를 일으키지만 야당의 ‘국민 지갑론’을 다소 추상적”이라며 “야당이 정권 심판론을 탈피한 것은 적절하지만 경제 정당 메시지를 좀더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고 말했다.

야권 후보 난립도 핵심 변수다. 서울 관악을과 성남 중원에서는 정의당 후보와 옛 통진당 후보의 득표율이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배종찬 본부장은 “새정치연합이 분산된 야권 표를 얼마나 흡수하느냐, 사표 방지 심리가 얼마나 작동하느냐가 관심사”라고 분석했다. 새정치연합의 부정적 입장에도 막판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윤희웅 센터장은 “당 대 당 차원의 후보 단일화는 어렵겠지만 후보별로 단일화가 이뤄질지도 변수”라고 설명했다.

임성수 김경택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