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경남기업이 해외 자원개발을 명목으로 정부 지원금을 받아낸 과정과 지원금 사용처를 추적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 중에 거액의 지원금을 받았지만 해외 자원개발 사업은 해마다 적자를 기록한 이유 등을 따져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한국신용평가로부터 경남기업 대출과 관련한 자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넘겨받은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자금난의 심화 정도와 정부 융자금 신청 사이에 연계성이 있는지, 성공불융자 심사 과정에서 제대로 된 신용평가가 이뤄졌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다.
경남기업은 워크아웃 중에도 각종 해외사업에 활발히 진출하며 유동성 활로를 모색했다. 경남기업이 공개한 해외사업의 실적만 보면 거액 국고 지원은 선뜻 납득되지 않는다는 평가가 많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해외사업 환산수익은 2005년 22억4923만원 손실을 기록한 뒤 매년 적자폭이 커졌다. 2008년에 266억9227만원의 이익을 거뒀지만 이듬해에는 151억6018만원 손실로 돌아섰다. 2013년에는 손실 폭이 1035억4664만원으로 확대됐다.
그럼에도 경남기업은 2010년부터 한국석유공사를 통해 러시아 유전 탐사 명목으로 성공불융자를 지원받았다. 2006~2008년에는 한국광물자원공사로부터 아프리카 니켈 광산 개발 관련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에특회계) 일반융자를 받았다. 검찰은 이렇게 받은 금액이 46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검찰은 이런 자금이 적법한 절차를 거쳤는지 파악하는 동시에 성완종(64) 회장 등 대주주 일가가 재산을 빼돌리는 데 이용됐을 가능성도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융자를 승인한 해외자원개발협회 등에서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 중이다. 성 회장 가족 명의의 업체 한 곳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검찰은 이번 주 석유공사와 광물자원공사 관계자들을 불러 경남기업이 융자금을 받은 과정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조만간 성 회장을 소환해 융자금 유용 의혹을 조사한 뒤 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경남기업이 고질적 자금난에 시달려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관계에 로비를 벌였는지도 향후 검찰의 수사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은 정면으로 부인하고 있지만, 경남기업이 아프리카 니켈 광산개발 사업에서 철수하며 성 회장이 광물자원공사 측에 지분 매각을 청탁했다는 의혹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검찰, 경남기업 자원개발 정부 지원금 사용처 추적에 수사력 집중
입력 2015-03-22 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