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서 “전자정부·새마을운동’ 행정한류 확산

입력 2015-03-19 13:38
우리정부가 전자정부와 새마을운동을 앞세워 에티오피아 등 동부 아프리카에서 ‘행정한류’ 확산에 본격 나섰다.

행정자치부는 18일(현지시간) 아디스아바바에서 한·아프리카(1+5) 행정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탄자니아, 우간다와 공공행정분야 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한국은 공공행정부문에서 세계적인 우수 사례로 꼽히는 전자정부와 새마을운동의 ‘성공 노하우’를 이들 5개국과 공유하겠다고 이번 회의에서 제안했다.

정종섭 행자부 장관은 각국의 전자정부 분야 고위급을 연내 한국으로 초청하고 이후에도 각국에 컨설팅과 자문 등 다양한 형태로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또 우간다에서 운영 중인 새마을운동 시범마을을 늘리고, 공무원 대상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한편 새마을운동 연수생 초청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정 장관은 올해 ‘제2회 지구촌 새마을지도자 대회’에 각국 정상이 참석해줄 것을 요청했다.

아프리카 5개국도 한국의 공공행정 혁신과 발전을 높이 평가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한국의 공공행정시스템을 배우고 싶다는 의사를 공통적으로 표명했다.

특히 케냐는 행정장관회의와는 별개로 양자회담을 요청, 한국의 전자정부 추진사례를 벤치마킹 모델로 삼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등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캐서린 게타오 케냐 정보통신부 차관은 회의 후 한국 언론과 만나 “한국은 네트워크 구축이나 전자정부 운영에서 세계적으로 앞선 국가로서 성공과 실수를 모두 경험했다”면서 “우리는 한국의 사례를 연구해 더 효과적으로 전자정부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자부는 이번 한·아프리카 행정장관회의가 ‘지구촌 마지막 블루오션’으로 부상한 아프리카로 행정한류를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아프리카의 국내총생산(GDP)은 2000년 3000억 달러에서 2010년 1조 달러로 급성장했다.

정종섭 장관은 “4개국과 공정행정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해 앞으로 지속적인 협력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 사항이 순조롭게 이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 후 정종섭 장관과 에티오피아·우간다·르완다·탄자니아 대표는 전자정부 및 지역개발 등 공공행정 분야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