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제유가 급락으로 재정에 타격을 입은 중동 산유국을 공략하기 위해 자금조달력을 앞세우기로 했다. 중동의 대형플랜트 등 리스크가 높은 투자개발형 사업에 5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자금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19일 박근혜 대통령을 주재로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대통령 중동 순방 성과에 대한 이행 및 확산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에는 ‘제 2의 중동 붐’을 일으키기 위한 대책이 담겨있다. 1970~1980년대 중동건설 붐을 통해 경제를 한 단계 도약 시켰듯이 이번엔 대형 플랜트 사업 등을 통해 다시 한번 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방안의 골자는 중동의 대형 플랜트 사업과 도시·수자원 개발 사업 등에 참여하는 기업에게 금융지원 및 투자 보증을 확대하는 것이다.
해외건설·플랜트 분야에 대한 무역보험공사의 올해 여신 규모를 지난해보나 2조9000억원 늘리고 수출입은행은 4000억원 늘리기로 했다. 또 수출입은행은 민간 은행에 해외진출 기업 대출을 위한 정책자금 1조원을 지원하도록 했다.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산업은행 등 금융기관이 리스크를 분담하는 3000억원 규모의 공동보증제도도 도입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으로 투입될 정책자금을 5조원 규모로 추산했다.
또 국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들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유망 해외 일자리 수요 조사·발굴에서부터 교육·훈련, 취업 알선, 사후 관리 등 해외 취업과 관련된 모든 단계를 지원하기로 했다.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건설산업과 근로자들의 노동력으로 제 1의 중동 붐을 일으켰다면 제 2의 중동 붐은 다양한 신산업에서 청년들의 전문직 일자리를 통해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이번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는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의 투자개발형 사업 확대, 해외자본의 국내 서비스업 투자 활성화, 새만금 지역 규제완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유가 하락에 타격받은 중동, '자금조달력'으로 뚫는다-5조원 투입
입력 2015-03-19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