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있는 삶의 마무리를 위한 호스피스 제도의 조속한 도입을 지원, 홍보할 ‘호스피스·완화의료 국민본부 10,000+’가 출범한다.
오는 23일 오후 2시 국회 도서관에서 발기인 대회를 갖는 호스피스·완화의료국민본부는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법률 제정과 정부의 적극적 정책 추진 지원을 위해 비영리재단 형태로 운영된다.
본부 공동 대표 발기인으로는 강경식 전 경제부총리를 비록해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김모임 전 보건복지부장관, 김일순 연세대 명예교수, 소설가 김주영, 연극배우 손숙, 영화배우 안성기 등 정·관·교육·문화계 인사 6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국민본부 10,000+’에서 ‘10,000+’는 호스피스 도입과 국민본부 출범을 위해 1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겠다는 뜻을 담고 있다.
본부 측은 “우리는 세계 최고 고령화 속에서 기대수명 83세를 누리게 됐지만, 아프면서 생을 마감하는 기간이 길고 ‘죽음의 질’ 평가에서는 32위(40개국 중)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면서 “세계보건기구와 여러나라가 이미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제도화했으나 가장 다급한 상황의 우리나라에서는 호스피스 제도가 자리 잡지 못했다”고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설문 조사 결과 86%가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현재 암 사망자의 13%만이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실정이다. 말기 환자는 그들의 바람과 달리 고가 검사와 처치로 고통을 받으면서도, 정작 품위있는 생의 마무리를 위한 돌봄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 본부 측은 “이 아픈 현실이 조속히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2002년 호스피스 제도화를 선언하고 일부 시범사업도 시행했다. 하지만 당초 2015년까지 호스피스 병상을 2500개로 늘린다던 계획은 2020년까지 1400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축소됐다. 다행히 오는 7월 1일부터 호스피스에 건강보험을 적용한다고 발표했지만 건강보험 수가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
호스피스·완화의료 국민본부 출범을 주도하고 있는 서울대 의대 윤영호 연구부학장은 “말기 판단 시점부터 환자의 호스피스 선택을 보장하고 최상의 의료를 제공하며 건강보험 적용에 따르는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제도의 질적 관리와 재정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호스피스 제도 도입 법안 제정 촉구, 웰다잉에 관한 범부처 5개년 종합계획 수립, 국민적 ‘웰빙, 웰다잉’ 사회문화운동 전개 등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품위있는 생 마무리" 호스피스 제도 정착 지원 국민본부 출범한다
입력 2015-03-18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