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 대비 원화 환율이 8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엔저에 이어 유로화 약세도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에 골칫거리를 안겨주고 있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7일까지의 유로·원 평균 환율은 유로당 1207.08원이다. 월평균으로 따졌을 때 2006년 11월(유로당 1205.32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재정위기를 겪은 유럽 경제가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면서 2009년 3월 유로당 1904.04를 고점으로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다. 5년간 유로화 대비 원화 가치는 58% 상승(유로화 약세)했다.
올해 들어선 유로·원 환율의 하락세가 그 어느 때보다 가파르다. 유로·원 환율은 작년 말 1336.52원에서 지난 17일 1198.59원이 됐다. 유로화 대비 원화 가치가 석 달 반 동안 11.5%나 절상됐다.
유로·원 환율 하락은 유럽에서 물건을 수입하는 업체나 여행객들에겐 호재지만 유럽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에겐 악재다. 한국 수출기업들과 경쟁 관계에 있는 유럽 기업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2일 기준금리 인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각국의 환율 변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국내 수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총 수출 측면에서 보면 대(對) 유럽 수출이 일본보다 많기 때문에 유로화의 환율 변동은 엔화 환율 변동 못지않게 우리 수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총 수출에서 유럽연합(EU)이 차지하는 비중은 9.0%로, 일본(5.6%)보다 높다. 중국과 미국 비중은 각각 25.4%, 12.3%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엔저만큼 골치아픈 유로화 약세
입력 2015-03-18 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