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보안 예산이 선진국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18일 ‘국내·외 금융권의 정보보안 최근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18개 국내 은행의 IT투자예산 대비 보안예산 비율은 지난해 10∼15%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2013년 국내 은행들의 보안예산비율(9.27%)보다는 상승했지만, 지난해 카드 3사의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태 이후 국내 금융사들이 정보보안 강화에 역점을 뒀던 사실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국내 정보보안 시장 규모는 6조원으로, 세계 시장(209조원)의 2.9% 수준이다.
국내 은행의 IT투자 대비 보안예산 비율은 미국의 은행권(약 40%)이나 영국의 은행권(약 50%)보다 현저히 떨어졌다.
국내·외 금융사들은 정상적인 경로를 벗어난 이용자의 이상금융거래를 탐지해 차단하는 FDS(Fraud Detection System)를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카드사 8곳 전체, 은행 10곳, 증권사 4곳이 FDS 구축을 완료한 상태다.
은행 중에서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외환·씨티·경남·부산·전북은행이 구축을 마쳤고, 산업·기업·수협·SC·광주·제주·대구은행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거나 연내 구축할 예정이다. 이 연구위원은 “은행과 증권사는 부정사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축적 미비와 운용기법상 미숙으로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기까지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국내은행 보안예산 선진국보다 현격히 낮아
입력 2015-03-18 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