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해차가 크다 보니 어떤 합의가 이뤄지는 것은 불가능했다.
청와대에서 17일 열린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간의 3자 회동은 청와대와 야당의 인식차가 여전히 크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줬다.
박 대통령은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정치권의 협조를 당부하며 손을 내밀었다. 하지만 문 대표는 정부 경제정책을 실패로 규정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이에 따라 청와대 3자 회동 이후 신춘정국에 봄바람이 불어오는 게 아니라 삭풍이 몰아닥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문 대표 ‘비판’에 박 대통령 ‘반박’=문 대표는 회동 시작부터 “경제민주화와 복지공약은 파기됐다”고 맹공을 가했다. 이어 “재벌과 수출대기업 중심의 낡은 성장 정책으로 중산층이 무너졌고 양극화가 극심해졌다”면서 “총체적인 위기”라고 규정했다. 또 “경제정책을 대전환해서 소득주도 성장으로 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현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을 많이 입법시킨 정부”라며 “하도급업체 등 약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제도개선을 마무리했다”고 맞섰다.
박 대통령은 또 “야당이 주장하는 소득주도 성장은 현 정부가 추진하는 방향”이라며 “다만 추진방법이 다르다”고 답했다. 이어 “과도한 재정지출 등을 통한 인위적인 가계소득 증대방안은 국민의 세부담 증가와 기업활동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일자리 중심의 소득주도 성장이 옳은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최저임금 대폭 인상과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생활임금(최저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의 확대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정부도 우리 최저임금 수준이 다른 나라보다 낮은 점을 고려해서 적정 수준의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생활임금은 법이 정한 최저임금과 혼선을 빚을 수 있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취지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여야 대표 ‘3자 회동’ 정례화=하지만 성과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김 대표는 “문 대표와 합의해 이런 회동을 요청하면 대통령이 응해 달라”고 요청했다. 문 대표도 “앞으로는 의제를 좁혀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정례적으로 대화하는 기회를 갖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문 대표는 연말정산 보완책과 관련, “(연 소득) 5500만원 이하는 세 부담 증가가 없고, 5500만원부터 7000만원까지는 2만~3만원 밖에 늘지 않는다고 한 약속을 지켜달라”고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원래 취지대로 5500만원 이하 소득 근로자들이 손해 보지 않도록 준비해서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여야 대표는 또 공무원 연금 개혁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했지만 각론에서는 여전히 견해차가 뚜렷했다. 김 대표는 “합의된 시한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문 대표는 “합의한 날짜를 가볍게 여기지 않으며, 대타협기구에서의 합의와 공무원 단체의 동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남북관계에 대해선 “박 대통령 임기 중에 성과를 내려면 올해 안에 남북정상회담을 해야 한다”면서 “우리 당도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정부는 계속해서 (북한에) 대화를 제안해왔고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 도움이 된다면 누구하고도 대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계속 밝혀왔다”고 답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합의는 작았고 견해차는 컸다...3자 회동
입력 2015-03-17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