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주한미군 배치 여부를 놓고 한국과 중국의 갈등이 노골화되고 있다. 특히 사드 배치 문제가 한·미·중 3국 간의 안보 이슈를 뛰어넘어 심각한 갈등 양상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 16일 외교 차관보급 협의를 통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대해 노골적인 반대 의사를 표명했으며, 우리 국방부는 17일 즉각 반박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주변국이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해 나름대로 입장은 가질 수 있다”며 “하지만 우리의 국방안보 정책에 대해서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방한 중인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전날 외교부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 측의 관심과 우려를 중요시해주면 감사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류젠차오 부장의 발언 수위는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신중하고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는 공식적인 언급보다 높은 것이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중국을 겨냥한 우리 국방부 대변인의 발언은 관계기관과 조율한 결과로 사실상 정부 입장으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7일 조태용 외교부 차관을 예방하고 난 뒤 기자들과 만나 “아직 배치되지 않고 여전히 이론적인 문제인 안보 시스템에 대해 3국이 강한 대표성을 가진 것으로 상정하는 것이 흥미롭다”고 말했다.
그러나 러셀 차관보는 “한·미 양국은 북한의 상당한 위협에 직면에 있으며 우리 군 당국은 한국과 한국 시민, 미국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을 고려할 책임이 있다”고 말해 사드 배치 가능성에 여운을 남겼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사드가 도대체 뭐길래?”한.중.미 갈등 표면화
입력 2015-03-17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