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소득 408만원 이상인 국민연금 가입자는 오는 8월부터 내는 보험료가 적게는 월 900원에서 많게는 1만1700원 오른다.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기준인 기준소득이 오르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을 일부 조정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행정예고하고, 7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보험료 산정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은 현행 월 408만원에서 421만원으로, 하한액은 현행 월 26만원에서 27만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된다.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이 오른 현실을 반영해서다.
이 기준은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1년간 적용된다.
따라서 월소득 408만원 이상인 소득자는 8월분 보험료부터 최소 월 900원에서 최대 월 1만1700원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한다. 단보험료를 더 내는 만큼 받는 연금 급여액도 더 많아진다. 여기에 해당하는 고소득 국민연금 가입자는 231만여명이다. 반면 월소득 408만원 미만 가입자의 보험료는 오르지 않는다.
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은 매년 7월 기준소득월액의 최고금액과 최저금액을 조정하고 있다. 물가상승으로 연금의 실질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막고, 적정 수준의 연금급여를 보장하기 위해서다.
기준소득월액은 연금보험료와 연금급여를 계산하기 위해 가입자의 소득월액을 토대로 상한과 하한 금액 범위에서 정한 금액이다.
1995년 이후에는 하한액 월 22만원에서 상한액 월 360만원으로 고정돼 있었다. 하지만 2010년부터 국민연금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3년 평균 소득 변동률에 연동해 상한액과 하한액을 조정하고 있다.
3월 현재 기준소득월액의 최저금액(하한액)은 월 26만원이고, 최고금액(상한액)은 월 408만원이다.
국민연금공단은 이 기준에 따라 가입자가 월 26만원 미만 벌더라도 월소득을 26만원으로 보고, 월 408만원 이상 수입을 올리더라도 월소득이 408만원으로 가정해 보험료를 산정한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월소득 408만원이상 국민연금 가입자 8월부터 보험료 최대 1만1700원 더 낸다
입력 2015-03-17 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