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투자자들 온라인 모바일 예금으로 몰려

입력 2015-03-17 07:56
0.1% 포인트라도 금리를 더 주는 온라인과 모바일 예·적금의 인기가 위험보다는 안전을 선호하는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수백만원의 신용카드 사용을 요구하는 등 조건이 까다로운 오프라인 예금과 달리, 그리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는 금리 혜택이 강점이다. 은행 입장에서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주요 정기예금과 적금 금리가 대부분 연 2.0% 밑으로 내려가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온라인·모바일 상품에 고객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고 2.2%의 금리를 제공하는 신한은행의 'U드림 정기예금'은 저금리 추세가 본격화한 2013년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2012년 이 상품의 신규 가입액은 7667억원이었으나, 2013년 1조1303억원으로 1조원을 돌파한 후 지난해에는 그 두 배인 2조410억원의 가입실적을 올렸다.

올해 들어서는 이달 초까지 가입액이 6천783억원에 달해 올 한해 가입액이 3조원을 훌쩍 뛰어넘을 전망이다. 이 상품은 온라인 전용통장인 'U드림 통장'과 연계해 출금하고 모바일뱅킹으로 신규 계좌를 개설하면 0.3%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주는 등 금리 요건도 그리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기업은행의 '흔들어예금'은 우대금리를 받으면 금리가 연 2.45%에 달해 은행권 최고 수준의 금리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을 통해 예금에 가입하고 하루 1000보씩 50일 이상 걷기 운동을 실천하면 0.3%포인트의 금리 혜택 요건을 충족시켜, 고객 결심에 따라 얼마든지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은 지난해 1만1000여명, 2128억원의 가입실적을 기록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입소문'을 타고 6000여명의 신규 가입자가 몰려 이달 초까지 가입실적이 벌써 1589억원에 달한다. 이 추세를 이어가면 올해 안에 잔액이 1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3년까지 예금을 유지하면 연 2.2%의 금리를 주는 하나은행의 '하나 e-플러스 정기예금'도 한창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2012년 1345억원이었던 신규 가입액이 2013년 2048억원, 지난해 3925억원으로 매년 두배 가까이 늘어나더니, 올들어서는 두달 만에 1100억원의 가입액을 기록해 올해 총 가입액은 60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 상품의 지난달 말 잔액은 9680억원으로, 이 추세를 이어가면 이달 내 1조원, 올해 말에는 1조5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환은행의 'e-파트너 정기예금', '매일클릭적금', 'Yes큰기쁨예금', '셀프-기프팅적금' 등 4가지 온라인 예·적금도 총 잔액이 1조5000억원을 넘어설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은행들은 시장금리의 하락 속에 고금리 상품으로 몰려드는 고객들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으나, 내심 싫지만은 않다는 분위기이다. 프라인 상품의 경우 지점 운영비, 인건비, 서류 처리비용 등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온라인이나 스마트폰으로 가입하는 예·적금은 이러한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이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