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17일 청와대 회동이 어떤 결과를 도출할지 주목된다. 야권의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문 대표의 당 대표 선출 이후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공식 회동하는 것은 처음이다. 2012년 18대 대선에서 격돌했던 박 대통령과 문 대표가 27개월 만에 만나는 자리이기도 하다. 일단 박 대통령이 여야 대표의 회동 요구를 수용해 만남이 이뤄진 점과 앞으로 이런 자리가 정례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야 모두 반가운 일이다.
다만 경제 활성화와 각종 구조개혁 해법을 둘러싼 청와대와 야당의 셈법은 다를 수밖에 없어 회동이 마냥 좋게 흘러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문 대표 측은 지난주 조윤선 청와대 정무수석과 의제 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가합의문 작성을 요청했지만, 청와대가 난색을 표명해 진통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박 대통령이 회동 전날인 16일 새누리당 주호영 의원 등 3명을 정무특보로 위촉한 데 대해 야당의 반발이 이어지면서 회동 초반 다소 어색한 분위기가 연출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그럼에도 이번 회동에선 두 사람 모두 경제살리기와 관련해 최소한의 접점은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만약 아무런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서로 관계만 악화된다면 박 대통령이나 문 대표 모두에게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 대표로서는 이 자리가 제1야당 당수로서의 리더십을 제대로 보여줄 장(場)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은 우선 회동에서 최근 중동 4개국 순방결과를 설명하면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치권의 초당적인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또 공무원연금개혁 처리와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구조개혁을 위해 야당도 협력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논의사항은 경제 활성화와 구조개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5부 요인을 만난 자리에서도 ‘제2의 한강의 기적’을 강조하면서 경제재도약을 위한 국가적 역량 결집을 당부한 바 있다.
문 대표는 경제와 안보를 대화 주제로 정하고, 야당에서 주장하는 ‘소득주도 성장론’으로 박근혜정부의 경제정책 기조를 전환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10% 이상의 최저임금 인상, 전·월세 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제 도입, 조세정의 확립 등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제는 경제”라며 “우리 경제가 더 깊이 병들기 전에 경제정책 기조를 대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회동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회담을 원만히 이뤄지도록 중재자 역할을 할 계획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박 대통령, 17일 여야대표 회동… 결과물 낼수 있을까
입력 2015-03-1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