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교력 시험대에 올랐다...中,사드 반대 예상밖 높은 수위

입력 2015-03-16 16:42

중국이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함으로써 우리 외교력이 또 한번 시험에 들게 됐다.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는 1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이경수 외교부 차관보와 면담한 뒤 기자들과 만나 “(사드 문제와 관련한) 중국측의 관심과 우려를 중요시 해달라”면서 “한·미가 사드 문제에 대해 타당한 결정을 내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류젠차오 부장조리의 발언은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신중하고 적절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는 공식적인 언급보다 높은 것이다. 사실상 ‘압박’ 수준이다. 이번 차관보급 접촉에 앞서 사드 문제가 공식적인 의제로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우리 외교 당국자들은 류젠차오 부장조리의 공개 발언에 적잖이 당황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측이 이날 협의가 끝나자마자 사드 문제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을 상당히 유의미하다.

한·미가 사드 문제에 대해 ‘요청이나 협의, 결정도 없다’는 이른바 ‘3 NO’ 입장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중국 측의 견제 움직임이 노골화되는 것은 그만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방증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우려는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되면 중국 일부 지역도 '사드 영향권'에 들어가 자국의 안보 이익이 침해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중 양국이 아시아 지역 패권을 놓고 경쟁하는 가운데 중국 내에는 미국이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하려는 의도가 북한 위협을 명분으로 중국을 견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인식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우려 정도를 고려할 때 사드 한반도 배치가 결정된다면 한중 관계에도 상당한 부정적 영향이 뒤따를 것이란 관측도 나돌고 있다.

물론 일부 군사전문가들은 중국이 사드 문제를 순수한 군사적 측면에서 보지 않고 아시아에서 미중 간의 힘겨루기 차원에서 인식하므로써 과도하게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