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최근 주민들의 소토지(개인 텃밭)에 대한 사용료를 현금이 아니라 현물로 낼 것을 지시하면서 사용료를 대폭 인상했다고 16일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보도했다.
북한 농촌 주민 대부분은 소토지에서 작물을 수확해 생계를 유지해 왔으나 사용료가 대폭 인상돼 주민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강원도 소식통은 “지난해부터 농촌지역 주민들의 소토지 사용료를 돈이 아니라 알곡으로 내라는 지시가 떨어졌다”며 “작년에 소토지 1정보당 알곡 500kg을 상납했지만 올해부터는 250kg이나 많은 750kg을 바쳐야 한다”고 말했다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지난해 ‘벌거숭이(민둥산)산 수림화’에 대한 장군님(김정은)의 방침이 나오면서 소토지 사용료를 돈 대신 알곡으로 반납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며 “올해 토지 사용료를 지난해에 비해 50%나 많게 징수하는 것은 소토지를 내 놓으라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에 의하면 북한 절대 다수의 농촌 주민들은 인근 야산과 높은 산중턱까지 개간해 강냉이와 수수, 콩 등 알곡 작물을 수확해 생계를 유지해왔다. 산비탈이나 야산은 토지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콩 같은 경우, 정보당 1톤 생산이 힘든데다가 750kg을 바치고 나면 남는 게 없다는 것이 소식통의 지적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개인 텃밭 내놓으라는 거냐”北,소토지 사용료 50% 인상 징수
입력 2015-03-16 08:25